[그래픽뉴스] 안전속도 5030<br /><br />도심 도로를 운전하다 보면 제한속도가 들쭉날쭉이어서 헷갈릴 때가 적지 않죠.<br /><br />내일부터는 제한속도가 일률적으로 적용되는데,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지금보다 속도를 줄이셔야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국내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자가 차지하는 비중, 38.6%로 OECD 평균의 두 배에 가깝습니다.<br /><br />교통사고를 줄이고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도심의 차량 제한속도를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왔는데요.<br /><br />내일부터 고속도로와 자동차전용도로를 제외한 도심 일반도로의 제한속도가, 기존의 시속 60~80㎞에서 시속 50km로 낮아집니다.<br /><br />어린이보호구역과 주택가 등 이면도로 역시 제한속도가 시속 30km로 일괄 적용됩니다.<br /><br />1970년대 유럽 등 교통 선진국에서 시작해 현재 OECD 37개국 중 31개국에서 이미 시행 중인 이른바 '안전속도 5030' 정책입니다.<br /><br />이 정책의 근거는 여기에 있는데요.<br /><br />한국교통안전공단이 실험했더니, 차가 시속 60km로 달리다 사고가 날 경우 보행자의 중상 가능성이 92.6%에 달했지만, 시속 50km일 때는 72.7%, 시속 30km일 때는 15.4%로 낮아진 겁니다.<br /><br />주행속도를 시속 60㎞에서 50㎞로 10㎞만 낮춰도 보행자의 사망 가능성이 40%나 감소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인데요.<br /><br />실제로 '안전속도 5030'을 시범 적용했던 지역을 살펴보니, 부산 영도구에서는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가 37.5% 줄었고, 서울 종로구에서는 중상자가 30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안전속도를 낮춘 만큼 통행 시간이 증가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경찰이 제한속도를 낮춘 전국의 11개 대표 구간을 조사한 결과, 보시는 것처럼 차량의 운행 속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도심에서는 교차로와 횡단보도가 많은 만큼 제한속도가 낮아진다고 해서 통행시간이 크게 늘지는 않는 겁니다.<br /><br />처음엔 조금 어색하고 불편하겠지만, '안전속도 5030' 정책은 보행자 중심의 교통문화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누구나 차에서 내리면 보행자라는 사실, 꼭 기억해야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